경제용어 몇가지 3탄

2020. 10. 11. 21:20경제공부

27. 만기수익률 :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 받게되는 모든 수익이 투자 원금에 대하여 1년당 어느 정도의 수익을 가져오는가를 나타내는 예상 수익률이다

 

출처 서울신용보증재단

28. 마이크로 크레디트 : 자활 의지를 가지고 있는 빈민과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무담보 소액대출 제도

 

29. 매몰비용 : 다시 되돌릴 수 없는 비용, 즉 의사 결정을 하고, 실행을 한 이후에 발생하는 비용 중 회수 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하며 함몰비용이라고도 한다

 

30. 명목금리 :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지 않고 표시된 금리로 물가상승률을 차감하여 산정되는 실질금리에 상대되는 개념이며, 명목금리는 외부로 표현되는 금리이며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금리가 실질금리이다

 

출처 한겨레

31. 무디스 : 미국의 신용평가 회사로 세계 3대 신용평가 회사 중 하나(fitch/s&p)

 

32. 물가지수 : 물가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, 기준이 되는 해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하고, 그 후의 물가를 종합지수의 형태로 나타낸다

 

33. 뮤추얼 펀드 : 유기증권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법인회사로 주식발행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하고 모집된 투자자산을 전문적인 운용회사에 맡겨 그 운용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금의 형태로 돌려주는 투자회사

 

출처 구글포토 (검색어 유가증권)

34. 유가증권 : 화폐증권(수표, 어음) + 자본증권(주식, 공채, 사채)

 

35. 뱅크런 : 경제상황 악화로 금융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,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

 

출처 구글포토(검색 베블런효과)

36. 베블런 효과 : 가격이 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(veblen effect)

 

37. 변동금리 : 기준금리가 변할 때마다 변하는 금리

 

출처 한국경제

38. 보호무역주의 : 국가가 관세, 수입할당제, 그 밖의 수단으로 외국무역에 간섭하여 국내산업 또는 고용을 보호하려고 하는 주장을 말한다

 

39. 본원통화 : 중앙은행이 지폐/동전 등 화폐발행의 독점적 권한을 통하여 공급한 통화를 말하며, 화폐 발행액과 예끔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지급준비 예치금의 합계로 측정된다

 

40. 부가가치세 : 거래 단계별로 재화나 용역에 생성되는 부가가치(마진)에 부과되는 조세로 간접세의 일종이다. 우리나라는 현재 재화 및 용역의 최종가격에 10%의 부가가치세가 포함된다

 

41. 부가가치 : 어떤 기업의 연간 생산액은 그 전부를 기업이 만들어낸 것이 아니라 생산에 소요된 원재료,연료,하청 기업이 납품한 부품등 다른 기업의 생산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공제한 나머지 부분이 부가가치가 된다. 부가가치 안에는 감가상각비, 영업제경비 中 임대료, 보험료, 광고비 등 제3차 산업의 소득으로 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

 

42. 부채담보부증권(CDO) :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 원흉

 

43. 부채비율 :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얼마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, 타인 자본의존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다

 

출처 연합뉴스

44. 빅맥지수 : 각국의 통화가치가 적정 수준인지 살피기 위해 각국의 맥도날드 빅맥 햄버거 현지 통화가격을 달러로 환산한 가격이다

 

45. 상장지수펀드(EFT) : KOSPI200 지수와 KOSPI50 지수와 같은 특정 주가지수의 수익율을 따라가는 지수연동형 펀드를 구성한 뒤 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도록 발행 유통 환매구조를 변형한 상품

 

46. 서킷브레이커 :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주식매매를 일시정지하는 제도

 

47. 선물거래 : 선물(futures)거래한 장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로 미래의 가치를 사고 파는 것이다